티스토리 뷰

https://aws.amazon.com/ko/?nc2=h_lg

 

클라우드 서비스 | 클라우드 컴퓨팅 솔루션| Amazon Web Services

기계 학습 MLB에서 AWS를 공식 기계 학습 공급자로 선정 미국의 프로야구 리그에서 어떻게 AWS Machine Learning을 사용하여 통계에 의미를 부여하는지 알아보십시오 자세히 알아보기  딥 러닝을 위한 기반 MLB는 수십 년 동안 선수에 대한 통계 데이터를 수집해왔으며 2015년에 AWS를 사용하여 경기 통계를 수집 및 배포하여 팬 경험을 향상하기 시작했습니다. 개발자 지원 MLB는 Amazon Sagemaker를 사용하여 개발자 및 데이터 과

aws.amazon.com

 

인스턴스 생성

 

위 사이트에서 계정생성을 하면 프리티어(1년무료.제한된서비스사용할수있음)로 사용 가능 하다. 

 

 

ec2 클릭

 

 

프리티어계정으로 사용할예정이라 t2.micro로 생성했다. 많은 메모리를 사용하고싶다면 다른 유형을 선택해서 만들어도된다. 가격은 검색 ㄱㄱ

 

 

인스턴스 세부구성을 클릭하여 서브넷을 설정한다. 아무거나해도 문제없었다.

 

 

어떤 포트를 열어줄지 설정해주는 보안그룹이다. 예를 들어 8080같은걸 사용하고싶다면 따로 규칙을 추가해줘야한다. 많은 포트를 사용한다고 해서 비용이 추가되진 않는다.

 

검토 및 시작버튼을 누르면 키페어를 생성하는 창이 뜨는데 이름은 원하는대로 작성하면 된다. pem파일이 생성되는데 이 파일로 인스턴스에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한 번쓰고 삭제한다던가 다른 사람한테 주면 안된다.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나서의 화면인데 사용중에 포트를 추가하고싶다면 인스턴스를 클릭하고 하단에 보이는 인바운드탭을 클릭해서 편집해주면 된다. 

 

 

 

 

Elastic IP

인스턴스 하단에 보이는 퍼블릭 ip는 인스턴스를 재시작했을 경우 다른 ip로 바뀐다. 종료하고 재시작해도 바뀌지않도록 elastic ip를 설정해주자.(※인스턴스와 elastic ip를 연결해주지않으면 요금이 발생하니 주소연결을 꼭!해줘야한다)

 

 

서비스의 ec2를 클릭해서 나온 화면에서 좌측 네트워크및보안 > 탄력적 ip가 있다. 

새주소할당을 하면 인스턴스,프라이빗ip주소가 안보인채로 한 행이 생긴다.

여기서 우클릭을 해서 주소연결을 클릭해주자.

 

우측의 작은 역삼각형을 눌러 연결해주고자하는 인스턴스와 프라이빗ip를 선택해준다.

 

연결을 누르면 인스턴스를 종료했다가 켜도 변함없는 고정된 ip가 생긴것을 알수있다!!

 

 

 

도커 설치

https://mobaxterm.mobatek.net/download.html

 

MobaXterm free Xserver and tabbed SSH client for Windows

The ultimate toolbox for remote computing - includes X server, enhanced SSH client and much more!

mobaxterm.mobatek.net

원격접속을 위해 MobaXterm을 다운받았다.

 

 

SSH를 클릭하고 호스트에는 ip주소를 넣는다.

Use private key를 클릭해 인스턴스를 생성하며 받았던 pem파일을 불러온다.

 

 

로그인할땐 linux 2 ami 운영체제로 만든 인스턴스이기 때문에 ec2-user를 입력한다.

(ubuntu인경우 ubuntu를 넣으면 로그인할 수 있다. 이렇듯 운영체제마다 login 이름이 다르다. 다른 운영체제가 궁금하다면 aws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로그인 하고나서의 화면

 

sudo yum update -y
sudo yum install -y docker
sudo service docker start
sudo usermod -a -G docker ec2-user

상기 명령어를 입력한다.

1. 패키지이름을 입력하지않았기 때문에 모든 패키지를 업데이트한다. -y옵션을 통해 모든 상황에 yes로 답변한다고 하는 것이다.

2. docker를 설치한다.

3. docker를 시작한다.

4. docker를 ec2-uer그룹에 추가한다.

 

 

 

service start를 안하고 docker info를 하면 모바텀이 깜짝놀라며 연결할 수 없다고한다. service스타트를 까먹지말자

 

 

 

docker info를 치니 정보들이 잘나왔다.

 

이상 도커가 설치된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ps. 13.125.150.106이 사용중인 인스턴스가 아니기때문에 따로 지우지 않았다.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