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개발괴발
검색하기

블로그 홈

개발괴발

gaebal-goebal.tistory.com/m

개발자 공부 정리

구독자
1
방명록 방문하기

주요 글 목록

  • 2024년 회고 회사에서 경험한 것들과 기타 2024년에 공부한 것들을 회고하는 형식으로 정리하였습니다.일하면서 배운점/느낀점1. DynamoDB 심화 배포 후 서버 사용량이 급격히 증가하며 문제가 발생한 적이 있었습니다. 코드를 통해 원인을 분석한 결과, 불필요한 데이터를 과도하게 조회하고 있다는 점을 인지했습니다. 이에 DDB 읽기 사용량을 최적화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만 가져오도록 코드를 수정했습니다. 문제 발생 지점을 추적하고 개선하는 과정을 직접 경험하면서, 성능 최적화의 중요성을 다시금 느낄 수 있었습니다. 읽기를 할 때 어떤 방식을 선택하냐에 따라 읽기 사용량이 다를 수 있다는 것을 직접 확인할 수 있었던 것도 좋은 경험이었던 것 같습니다. 2. Databricks 마이그레이션 약 2,500만 건의 데이터를.. 공감수 2 댓글수 0 2025. 3. 7.
  • 2023년 회고 회사에서 경험한 것들과 기타 2023년에 공부한 것들을 회고하는 형식으로 정리하였습니다. 일하면서 배운점/느낀점 1. DynamoDB 기존에 프로젝트를 할 때는 JPA와 함께 MYSQL을 사용했습니다. nosql 역시 전에 잠깐 사용한 적은 있지만 다른 사람들이 개발해 둔 것에 기능을 추가하는 식으로 했기 때문에 nosql에 대해 이렇게까지 깊게 보진 않았습니다. 프로젝트를 하면서 설계부터 독특하게 했는데, Single table design이라는 방식으로 설계했습니다. 이때 "오 이게 완전히 RBD와는 다른 설계다!" 라는 것을 느끼면서 개발할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비동기로 사용하려고 찾아보고, 비용은 어떤 식으로 들지 확인하고, 어떻게 인덱싱하는 게 좋을지, 유닛은 어떻게 소비되는지 확인해 봐 가.. 공감수 1 댓글수 2 2024. 2. 29.
  • 2022년 회고 - 3년 개발 후기 이직한 회사에 1년정도 재직하며 경험한 것들과 기타 2022년에 공부한 것들을 회고하는 형식으로 정리하였습니다. 일하면서 배운점/느낀점 1. 캐시 엔티티에 캐시 적용을 하며 캐시에 대한 이해도가 올라갔습니다. 이전에 캐시 용어만 듣고 대충 개념만 알고 있었는데 실제로 코드로 작성한 부분은 얼마 되지 않지만 리서치나 공부하게 된 내용이 좋았습니다. 캐시 무효화 시키는 것도 그렇고 전에는 훨씬 뭉뚱그려서 알고 있었는데 이런 식으로 동작하는 구나를 코드 레벨로 알게 돼서 너무나 좋았던 경험이었던 것 같습니다. 2. 노션 활용도 up 노션을 아주 잘 활용하게 되었습니다. 이전에 거의 기억하려고 하고 외우지 못하는 것들만 메모장에 별도로 작성해뒀다면, 이제는 뭐든지 전부 기록하게 된 것 같습니다. 프로젝트를 하면.. 공감수 0 댓글수 2 2023. 1. 15.
  • 2021년 회고 - 2년 개발 후기 개발일을 시작하고 2년 6개월 정도가 지나며 2년 개발 후기를 작성합니다.. 1년 개발 후기를 작성하고 이직을 하여 현재 새로운 회사에 재직중입니다. 일하면서 배운 점/느낀점 1. 코틀린/JPA/스프링 - 이직한 회사에서 코틀린, 스프링 등을 사용하며 해당 기술들을 익히게 됐습니다. 아직 이직한지 얼마되지 않아서 많이 모르지만 서버개발에 집중하며 공부할 수 있기에 재밌게 일하며 공부하는 중입니다. 확실히 혼자서 공부할 때와는 다르게 일하면서 공부하니까 습득 속도가 빠르고 더 많은 것들을 알게 되는 것 같습니다. 2. 테라폼, docker-compose, EDA, CQRS 개념 - docker-compose, terraform은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으나 코드를 보게된건 처음이었습니다. docker-com.. 공감수 0 댓글수 0 2022. 2. 26.
  • 1년 개발 후기 로켓펀치를 통해 스타트업을 찾아서 입사하게되었습니다. 글을 작성하는 시점엔 입사 후 1년하고도 6개월이 지나있지만 뒤늦게 1년을 정리하며 글을 씁니다... 일하면서 배운 점/느낀점 1. 자바스크립트/타입스크립트 - 회사에 입사하기전 html, jsp, spring으로 웹프로젝트를 한 경험이 다였습니다. 언어에 대한 공부는 java가 다였고 js는 간단하게 사용할 수만 있었습니다. 하지만 타입스크립트를 주 언어로 사용하는 회사에 가게되어 js와 타입스크립트를 공부하며 숙련도를 익힐 수 있었습니다. 2. 앵귤러, 리액트 네이티브 - Jsp, jstl로 웹 개발을 한게 다였는데 여기서 spa를 적용해 프로젝트를 하며 프론트 개발을 하게되었습니다. 앵귤러를 처음 접할때 너무 어려웠으나 어느정도 개발하다보니 데이.. 공감수 0 댓글수 0 2021. 4. 6.
    문의안내
    • 티스토리
    • 로그인
    • 고객센터

    티스토리는 카카오에서 사랑을 담아 만듭니다.

    © Kakao Corp.